
📌 이체확인증이란?
- 계좌 이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증명하는 서류
- 송금자, 수취인 정보, 금액, 날짜 등이 포함됨
📌 활용법
✅ 법적 증거: 채무 변제, 계약 이행 증빙
✅ 회계 및 세무: 기업 대금 지급, 급여 처리
✅ 개인 거래: 중고 거래, 돈 거래 증빙
✅ 보험 및 금융: 보험료 납부, 대출 증빙
📌 발급 방법
✅ 모바일/인터넷뱅킹: ‘거래내역 조회’ → ‘이체확인증 출력’ (무료)
✅ 은행 방문: 신분증 지참 후 창구에서 요청 (일부 유료, 500~2,000원)
✅ ATM (일부 은행 가능): 거래내역 조회 후 출력 (일부 유료)
📌 수수료가 드나요?
- 모바일/인터넷뱅킹 발급: 무료
- 은행 창구 방문: 일부 유료 (500~2,000원 발생 가능)
- ATM 이용: 일부 은행에서 소액 수수료 부과 가능

⚠️ 이체확인증(입금증)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가지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
- 송금인 정보: 송금인의 이름과 계좌번호
- 수취인 정보: 수취인의 이름과 계좌번호
- 이체 금액: 송금된 정확한 금액
- 이체 날짜 및 시간: 거래가 이루어진 날짜와 시간
- 계좌번호: 송금인과 수취인의 계좌정보
✅ 농협 모바일 뱅킹 (NH스마트뱅킹) 이체확인증 발급방법
1. 농협 모바일뱅킹(NH스마트뱅킹) 앱 실행 및 로그인
NH스마트뱅킹 앱 실행 ➡️ 오른쪽 상단 3줄 모양(≡) 아이콘 <전체메뉴> 터치


2. 이체내역조회
화면에서 아래로 내려주세요 ➡️ [ 이체내역조회 ] 카테고리에 [ 즉시이체 ] 선택


3. 이체확인증 조회가 필요한 계좌 선택
[ 이체내역 조회 ] 화면에서 [ 계좌선택 ] 메뉴에 [ NH농협 전체계좌 ] 터치 ➡️ [ 계좌선택 ] 에서 조회할 계좌 선택


4. 이체내역 출금계좌번호 표시
조회할 계좌를 선택 하셨으면 이체확인증이 필요한 이체내역 선택 후 [ 이체 확인증 ] 터치 ➡️ [ 출금계좌번호 표시 여부 선택 ] > [ 표시 ] 체크


4. 이체확인증 저장
[ 이체확인증 ] 에서 하단에 [ 저장 ] 을 눌러 이미지 저장완료 ( 갤러리 또는 사진첩에서 확인가능 )


💡유의사항 및 추가 정보
1. 이체확인증 발급 가능 기간
- 최근 1~3년간의 거래 내역은 NH스마트뱅킹 앱에서 즉시 조회 및 발급이 가능합니다.
- 그보다 오래된 내역은 농협 고객센터 또는 영업점 방문을 통해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2. 이체확인증과 거래명세표 차이
- 이체확인증: 특정 거래(송금, 이체 등)에 대한 공식 증빙 서류로 사용됩니다.
- 거래명세표: 계좌의 전체 거래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문서입니다.
3.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필요 여부
- 간편인증(지문, 패턴, PIN) 사용자는 앱 내 조회는 가능하지만,
- 이체확인증을 출력하거나 공식 증빙 서류로 제출할 경우, 공동인증서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4. 은행 시스템 점검 시간
- 농협(NH농협은행)은 시스템 점검 시간이 있으며,
- 일부 심야 시간대(보통 23:55~00:30)에는 거래 내역 조회 및 이체확인증 발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📌 NH스마트뱅킹 앱을 활용한 이체확인증 발급 TIP
- NH스마트뱅킹 앱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이체확인증을 간편하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.
- 세금 신고, 거래 증빙, 대출 서류 제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므로,
필요할 때 빠르게 발급받는 방법을 익혀두면 편리합니다. - PDF 파일로 저장하거나 클라우드에 보관해 두면 분실 위험 없이 언제든 다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📌 추가 문의사항이 있다면?
- 농협 고객센터(농협은행 1661-3000 / 농축협 1588-2100)
- 농협 공식 홈페이지(https://banking.nonghyup.com)
✔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 및 스크랩하여 필요할 때 참고하세요! 😊